R127 통계학 용어 익숙해지기 통계학 용어들이 낯선경우가 많다. 영문 용어의 한자(漢字)식 표현이 일반적이어서, 한글로만 보면 다소 의미가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hetero(異), bi(二) 등이 '이'라는 한글로 작성되면서 혼돈이 생기기도 한다. plot 처럼 외래어표기도, 한글식 표기도, 한문식 표기도 낯선 용어번역도 있다. https://ccrma.stanford.edu/~unjung/stat-term.html 많은 통계용어의 번역 어휘집을 제공한다. (문서 인코딩이 euc-kr로 되어있는 문서라서, 화면이 깨져보일수 있다.) 한편, wikipedia 는 통계학용어에 대한 꼼꼼한 설명을 제공한다. 2011. 2. 7. R Commander - Statistics - Non-parametric test - (one-sample Wilcoxon test) 비모수 통계학적 검증으로 널리 쓰이는 Wilcoxon(1945)의 검증법 중에서, '단일-표본(one-sample)' 검증은 R Commander에서 마우스를 통한 메뉴선택법으로 확인할 수 없다. Wilcoxon's signed rank test 에서 단일표본 검증은 R 터미날/R Commander의 Script Windows에서 명령을 입력해야한다. wilcox.test(데이타이름, 평균(mean, mu), alternative="greater/less") 등의 기능 입력이 필요하다. https://rcmdr.tistory.com/178 2. Single-sample Wilcoxon test... 통계 > 비모수 검정 > 일-표본 Wilcoxon 검정... Statistics > Nonparametri.. 2011. 1. 14. 출판도서 정강모, 김명근 (2007) R 기반 다변량 분석. 교우사. 양경숙,김미경 (2007) R 입문 및 기초 프로그래밍. 자유아카데미. 유충현 (2010) 예제로 배우는 R 프로그래밍. 자유아카데미. 임동훈 (2010) R을 이용한 비모수 통계학. 자유아카데미. 최경화,하미나 (2010) R-COMMANDER를 이용한 통계분석: 의,약,보건학 자료의 적용.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1. 14. R Commander - Statistics - Summaries - Sapiro-Wilk test of normality http://scholar.google.com 에서 검색어로 sapiro-wilk test 로 1965년 자료를 찾을 수 있다. http://www.wikipedia.org/en/에서 sapiro-wilk test에 대한 설명의 각주를 참조하면 원문을 구할 수 있다. 어떤 변수가 갖고 있는 자료들의 정규성(normality)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정확히는 정규분포라는 영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수리적 근거들이다. 혹시 비모수적 방법(non-parametric method)를 사용하게 될 때, 잘 사용할 수 있다: 1) 모집단의 분포에 대한 설명부족과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흔히 사용한다. 2) 순위척도(ordinal scale) 형식의 숫자 배열 데이타에 대한 분석에 용이하다. x 2011. 1. 1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