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0 FreeBSD 11.0 설치 http://www.freebsd.org 데이터분석을 위한 작은 서버의 편리성을 추구하다보니, 다시 FreeBSD를 살펴보게된다. 어떤 의미에서는 R의 업데이트와 관리에 최적화된 rolling distribution이라고나 할까, 뭐 이런것을 찾는셈이다. 단순화하자면, 입에 잘 맞는 패키지 관리시스템을 가진 운영체제와 배포판을 찾는 것이된다. binary 패키지형태로 제공되는 많은 R 패키지들이 편리하다. cran과의 시간차이도 크게 없어보인다. 고맙다. https://www.freebsd.org/doc/handbook/pkgng-intro.html pkg install ... pkg upgrade 2016. 10. 17. nano https://www.nano-editor.org 프로그래밍 편리성을 고려하지 않은 작은 편집기를 찾고자 했다.midnight commander는 다소 무겁고, 배포판에 기본설정으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요즘에는 시스템 설정을 위한 편집기로 nano를 많이 쓴다.(저장 단축키만 사용하니...뭐가 어렵겠는가?) 2016. 10. 17. Debian jessie 설치 http://www.debian.org 맥의 Virtual Box에 Debian jessie를 설치해본다. Debian에서 R이 어떻게 작동되는지, 그 사이에 변화가 없는지 다시한번 살펴보고자한다.- CRAN을 통한 소스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 보안관련 가이드만 잘 읽고 신경쓰면 최신의 R을 쓰는데 문제가 없어 보인다. (간혹 기여패키지의 의존성 문제가 발생할런지 모르겠다) gnomefcitx 2016. 10. 17. pcBSD --> TrueOS http://www.trueos.org 로 단일화되고 있다.TrueOS 데스크탑을 맥의 Virtual Box설치한다. (예전의 pcBSD보다 안정화된 느낌이다) GUI AppCafe (pkg) fcitx 2016. 10. 17.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