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0 QuantPsyc - lm.beta() coefficient(계수)라는 것은 다중 회귀분석의 경우 여러 계수들을 표준화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표준화하여 비교하는 것에 베타 계수라는 것이 있다. 베타 계수는 SPSS의 결과값 출력에는 기본설정이 되어 있으나, R의 lm()에는 없다. 이 때 필요한 것이 QuantPsyc 패키지이다. > require(QuantPsyc)> lm.beta(회귀분석결과) 2012. 5. 5. Ubuntu 12.04 - Ubuntu Classic 사용하기 우분투 12.04를 사용하고 있다. Unity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한글 변환키가 Command키와 충돌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왠지 unity가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 경우는 ubuntu classic을 사용하면 된다. terminal을 열고 > sudo apt-get install gnome-panel을 하면 클래식 옵션이 생긴다. 로그 아웃후 다시 접속할 때 이름옆의 버튼을 눌러보면 우분투 클래식 옵션이 보인다. 2012. 5. 5. corrgram - 상관관계의 시각화 > install.packages("corrgram", dependencies=TRUE) > library(corrgram) > install.packages("car", vdependencies=TRUE) > library(car) > data(Prestige) > corrgram(Prestige) # car라는 패키지에 들어있는 Prestige 데이터셋의 corrgram을 그린다. > corrgram(Prestige, order=TRUE) # car라는 패키지의 Prestige라는 데이터셋의 corrgram을 그리는데, 상관관계의 정도를 순서로 하여 그린다. * order=TRUE 인자를 사용하면 중앙에서 점점 상관관계가 멀어지는 그림을 발견할 수 있다. 푸른색의 강도는 정의 산관관계를, 붉은 색의 .. 2012. 4. 13. R graphics - par()의 mar 인자 pie()를 사용해서 그림을 출력해보면, 왠지 빈 공간이 커보이고, 또 상하-좌우가 비대칭인 듯한 느낌을 받는다. par()의 mfrow 인자를 써서 화면을 분할하고, 여러개의 원형그림(pie)을 그리면, 이러한 시각적인 문제가 심각해진다. 이때 par(mar=c(1,1,1,1)) 또는 par(mar=(1,4)) 등을 써가며 여백의 크기를 조정해보자. 2012. 3. 27.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