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27 R Graphics - box() R Graphics에는 많은 그래프들이 내장되어 있다. 자주 사용하게된다. 그런데, 간혹 여러 그래프들 사이의 제목 또는 그림의 '공백' 크기가 달라서 모양을 맞추기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그림을 그려보라. 그리고 box()을 해보라. 그림의 영역과 제목 영역의 비율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box() 함수는 사용자가 그림의 영역과 제목등의 추가 정보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확인하면 효과적이다. 2012. 3. 27. R base - grep() - gsub() - 숫자들 중간의 , (comma)를 제거해야할 경우 흔히 사용 많은 수치형 자료에 comma를 사용하여 천단위로 끊는것이 일반적이다. 보기에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료를 R로 불러들일 경우 comma 처리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수치형 변수가 문자형 변수로서 처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수치형변수가 문자형변수로 처리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99,999 가 977,000보다 크다고 해석이 된다(내림차순으로 정렬할 때 말이다) 이 경우를 막기 위해서 숫자 중간의 comma를 삭제해주어야 한다. 이 때 gsub()를 사용할 수 있다: gsub(",","") #문자중간에 있는 comma를 지우고 앞뒤간격을 없애라는 것이다. 1. read.csv()의 stringsAsFactors = FALSE 인자를 사용하여 변수들을 문자형으로 불러들인뒤, 2. str()를 사.. 2012. 3. 26. R Graphics - barplot() - (2) barplot을 통해서 그림을 그릴 때, 초보자들이 마주치는 오류 메시지가 있다: > barplot(survey.67542$Ex3.3.4..SQ001.) 이하에 에러barplot.default(survey.67542$Ex3.3.4..SQ001.) : 'heigth'는 벡터 또는 행렬이 아니면 되지 않습니다 요인(factor)형 변수에 대해서 막대그래프를 그리는 명령을 내리면, 겪는 메세지중의 하나다. 성공적으로 막대그래프를 그리려면, 요인형 변수들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려야 한다. 이 때 사용하는 함수가 table() 이다. > barplot(table(survey.67542$Ex3.3.4..SQ001.) [베이스(base)의 table()를 참조할 것] 2012. 3. 25. as.Date() - 요인형 변수로 불러들여진 값들을 다시 날짜형 변수로 바꾸는 법 날짜별 자료들중에서 날짜를 연/월/일로 표시한 것들이 있다. 자료가 불러들여지는 과정에서 요인(factor)로 변환되기도 한다. 이 경우 다시 날짜형 변수의 값으로 변환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 kospi200.week.60$date 2012. 3. 2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