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 Commander53 R Commander - Statistics - Fit Models - Linear Regression (1) "Regression" 리그레션, 또는 회귀분석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 '선형 회귀분석'은 통계학에서 흔히 쓰이는 기법이다. "관계성",,, 특히 (+)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상관계수' 를 구하는 법과 더불어서 말이다. 1차 선형 함수에서는 가상의 직선 기울기와 가상의 최초시작점을 의미하는 절편을 구하면, 그래프를 그리면서 시각화시킬 수 있다. Y 값은 반응하는 값이므로, 종속변수 또는 결과값을 의미한다. R Commander에서는 Response variable 로 제시된다. X 값은 투입값이며, 원인적 역할, 일반적으로 독립변수를 의미한다. R Commander에서는 Explanatory variable(s)가 된다. 위 그림은 어느 결과값을 나타낸다. 그 중에서 Estimate -Intercept의.. 2010. 12. 29. R Commander - Statistics - Contingency Tables - Enter and Analyze Two-Way Table 카이제곱 검증이라는 것이 있다. Chi-squared test 또는 Pearson's Chi-squared test을 뜻한다. 주로 두 변수간의 연관성 여부를 검증할 때 쓰인다. 2차원적인 표 자료를 주로 활용한다. 예를 들어, 남녀의 차이와 다른 조사내용이 독립적인가 연관있는가를 검사할 때 사용한다. R Commander에는 Contingency Tables에 카이제곱 검증 기능이 있다. 2010. 12. 28. R Commander - Data - Manage variables in active data set - Convert numeric variables to factors numeric variables을 factors로 만든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 R Commander에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일까? ========================================= R Commander - Statistics - Summaries 에는 여러가지의 기술통계적 요약을 만드는 기능이 있다. 화면 아래의 Output Windows에 보이는 것처럼 요약 정보들이 추출된다. > summary(Dataset) X1 Min. :1.00 1st Qu.:2.00 Median :3.00 Mean :2.87 3rd Qu.:4.00 Max. :5.00 NA's :5.00 > numSummary(Dataset[,"X1"], statistics=c("mean", "sd", "qua.. 2010. 11. 30. R Commander - Statistics - Means - Single-sample-t-test (일표본-t-검정) '평균비교' 또는 '평균분석'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려고 할 때, 필요한 개념이 '가설(hypothesis)'이다. 보통 귀무가설(Null Hypothesis),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대립가설의 결과가 이른바 P-value값의 숫자에 의해서 가설이 유효하다 또는 기각된다는 주장을 하게된다. 이 과정에서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보통 95%로 정하는 경우가 많다. 표본집단의 평균값이 비교의 대상이 되는 모집단 또는 비교집단의 값과 차이가 있다 또는 없다를 추론하는 작업이 평균분석(Means)가 된다. 이 작업의 결과가 SPSS에서는 다음처럼 추출된다. 한편, R Commander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한다. 개인적.. 2010. 5. 3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